객체 지향 프로그래밍
현대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가장 주류가 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
사전 계념
1. 객체
- 데이터 영역
2. ~지향 프로그래밍
- ~을 중점으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
3. 프로그래밍 패러다임
- 프로그래밍을 하는 스타일, 분류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나온 이유
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의 한계 때문에
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의 한계
1. 데이터와 데이터를 다루는 함수가 분리되어 있다.
- 관련된 객체끼리 모으기 힘들다.
- 인자로 어떤 데이터를 바꿀 것인지 받아야했다.
- 즉 포인터를 사용했어야 했다. (포인터는 쓰기 불편하다)
2. 함수의 이름을 항상 다르게 작성해야 한다.
- 함수의 이름은 식별자임으로 항상 다르게 작성했어야 했다.
- 즉, 비슷한 내용의 함수이더라도 이름을 각각 다르게 작성했어야 했다.
3. 프로그램을 확장하기 불편하다.
- 유지 보수(버그 픽스)가 불편했다.
-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어떤 함수가 필요한지 명확하게 호출했어야 했다.
- 때문에 어떤 변경점이 있다면 해당 함수가 사용된 모든 곳을 변경했어야 했다.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개념들을 사용하여 해당 불편함, 한계를 해결했다.
'객체 지향 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객체 지향 기초(OOP with C++)_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주요 개념 4가지 : (22.05.30) (0) | 2022.05.30 |
---|